본문 바로가기

재테크공부/원자재

[재테크][원자재] 경기에 따른 원자재 투자 종목 알아보기

320x100

원자재투자

* Class101 "스토니 - 금 투자가 뜬다? 주식보다 쉬운 원자재 투자법" 강의를 참고하였습니다. * 

 

1. 원자재 종목

ㅇ 에너지 : 원유, 천연가스 등

ㅇ 귀금속 : 금, 은, 플래티넘 등

ㅇ 산업금속 : 구리, 알루미늄, 니켈, 아연, 납, 주석 등

ㅇ 농산물 : 옥수수, 밀, 콩, 쌀, 커피, 설탕 등

 

2. 원자재 사이클 : 금리

원자재 투자

ㅇ 채권 > 주식 > 경기(부동산) > 원자재 순으로 사이클이 형성되는 편이다.

 - 경기 고점에서 주가는 하락하지만, 원자재는 상승한다. 부동산까지 하락하면 경기는 고점을 지나 둔화되고 있다는 판단이 가능하다. 반대로 원자재가 하락하고, 채권/주식/부동산이 오른다면 경기는 저점을 통과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.

ㅇ 경기에 따른 원자재

 - 경기동행 회복기는 투자가 많이 일어나면서 건설이나 운송업 등과 관련된 에너지(원유), 산업금속 대부분이 좋다.

 - 경기후행 확장기는 경기가 뜨거워지면서 소득/소비가 늘어나고, 먹거리, 사료 등과 같은 농산물과 귀금속(은)이 좋다.

 - 경기둔감때는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경기방어주, 에너지(천연가스), 귀금속(금)이 좋다.

구분 경기동행 경기후행 경기둔감 기타
에너지 원유   천연가스 원자력석탄 등은 선물거래 X 
귀금속   4대 귀금속플래티넘, 팔라듐
산업금속 대부분     6대 산업금속구리알루미늄,니켈아연주석
농산물   대부분   3대 농산물옥수수대두

원자재 투자

320x100

3. 원자재 투자 적기 시기 : 예상밖 물가 상승시기 (고성장, 고물가)

ㅇ 물가는 물건의 가격으로 실물인 원자재가 오르는 시기이다.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계속 오르는 상황이니 원자재 가격이 오르는 상황으로 물가에 더 민감하다. 물가가 1% 오를 때 원자재는 평균 7~9% 오른다.

ㅇ 인플레이션 투자 전략

 - Low : 경기가 회복되는 시기로 물가가 오르는걸 국가도 용인하는 수준. 유동성/금융장세(저금리, 저물가, 경기회복 기대)와 유사하고 주식투자가 좋음

 - Mild (3% 물가 수준) : 주식이 최고

 - High (4% 이상) : 미국 물가에 따라 중앙시장 금리도 올라가게 되고, 인플레이션 발생하면서 원자재 투자가 가장 좋음.

원자재 투자

 

4. 원자재 투자시 중요한 것 : 달러

ㅇ 달러와 원자재의 가치는 반대로 움직인다.

 - 2022년 달러/원자재 동반상승은 물가 떄문일 가능성이 높다.

 - 달러 약세에 최고 투자는 한국 증시이다.

ㅇ 달러 전망과 투자 전략

 - 달러 강세 Case : 1) 미국 경제가 좋음(달러로 된 자산에 투자하자, 주식/채권/부동산), 2)미국 경제가 나빠져서 글로벌 경기 둔화로 안전자산 선호현상(달러에만 투자하자)

 - 달러 약세 Case : 1) 미국 경제가 안정적일 가능성이 높음(어디든 투자해도 좋음. 신흥국 증시, 위험한 자산이 좋을 가능성이 높긴 함, 원자재 투자)

원자재 투자

반응형

5. 원자재와 주식/부동산 미래

ㅇ 원자재 가격 하락 = 기업에는 원가 감소, 가계에는 생활비 감소 > 기업/가계의 금융자산 투자 확대

통화량 증가(양적완화)는 결국 장기적으로 소득효과 및 인플레이션 기대효과로 인해 금리 상승 효과를 가져오게됨. 그래서 인플레이션이 오고 비용상승 기대가 높아지면서 금리상승(채권가격 하락)으로 나타나고 뒤이어 금융자산의 급락. 원자재까지 하락하면 전형적 경기침체에 진입하게 되고 채권가격부터 반등하기 시작. 

 - 돈이 풀리면서 유동성이 증가하고, 자산시장이 오르게 되는 것 > 장기적으로 소득효과(금리인상), 물가수준, 피셔효과(물가상승 기대감이 실현되는 것)가 나타나고, 장기적으로 주식시장에 역효과가 나타날 것.

 - 유동성 효과 : 호득수준과 물가수준 일정한 상황에서 통화량 증가시 이자율 하락하는 효과 (통화공급 증가 > 유동성 증가 > 이자율 하락)

 - 소득효과 : 유동성 공급 증가에 따라 소득이 증가하면 화폐수요가 증가해 이자율 상승 효과(통화공급 증가 > 경기 확장 > 소득 증가 > 이자율 상승)

 - 물가수준 효과 : 물가 상승하고, 다른 조건 일정한 경우 이자율 상승효과

 - 피셔효과 (기대인플레이션 효과 ) : 이자율 상승 효과

ㅇ 시장금리 : 물가와 경기 전망의 종합 나침반이다. (미국시장금리에 주목)

 - 물가상승 가능성이 더 높다면 시장금리 상승하면서 원자재 가격도 상승하게 된다.

 -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다면 시장금리 하락하면서 원자재 가격도 하락하게 된다.

 

[요약] 물가, 금리 상승기, 고성장, 달러(약세)일때 원자재에 투자하자!

 

2023.07.06 - [재테크공부/원자재] - [재테크][원자재] 원자재 - 귀금속 투자 알아보기

 

[재테크][원자재] 원자재 - 귀금속 투자 알아보기

* Class101 "스토니 - 금 투자가 뜬다? 주식보다 쉬운 원자재 투자법" 강의를 참고하였습니다. * 1. 안전자산 '금' 의 가격 최저점 ㅇ 금 값의 3대 결정요인 : 물가 변동성, 달러가치, 안전자산 수요(ETF

inform.workhyo.com

 

2023.07.07 - [재테크공부/원자재] - [재테크][원자재] 원자재 - 농산물 투자 알아보기

 

[재테크][원자재] 원자재 - 농산물 투자 알아보기

* Class101 "스토니 - 금 투자가 뜬다? 주식보다 쉬운 원자재 투자법" 강의를 참고하였습니다. * 1. 농산물은 단기투자 종목이다 ㅇ 인플레이션 기대가 높아지면 농산물이 유망하지만, 짧게 단기투자

inform.workhyo.com

 

2023.07.07 - [재테크공부/원자재] - [재테크][원자재] 원자재 - 산업금속 투자 알아보기

 

[재테크][원자재] 원자재 - 산업금속 투자 알아보기

* Class101 "스토니 - 금 투자가 뜬다? 주식보다 쉬운 원자재 투자법" 강의를 참고하였습니다. * 1. 글로벌 경기가 구리&알루미늄 값을 결정한다 ㅇ 산업금속은 경기동행성 원자재로 사이클이 비교적

inform.workhyo.com

 

320x100
반응형